본문 바로가기
경제

벌이 멸종하면? 지구는 어떻게 될까?

by 슈경 2025. 3. 31.

🐝 벌이 멸종하면?

벌의 역할:

  • 수분(pollination): 많은 식물, 특히 과일과 채소는 벌이 꽃가루를 옮겨줘야 열매를 맺을 수 있어요.
  • 농업 의존도: 세계 식량 작물의 약 75%가 동물의 수분을 필요로 하고, 그중 대부분이 꿀벌의 도움을 받아요.

멸종 시나리오:

  1. 식량 공급 붕괴
    수분이 되지 않으면 사과, 아몬드, 딸기, 수박 같은 작물이 열리지 않아요. 인류의 식단에서 주요 비타민과 영양소가 빠지게 됩니다.
  2. 가격 상승 및 식량 부족
    수분이 필요한 작물의 생산량이 급감 → 공급 부족 → 가격 폭등 → 빈곤층 타격 심화
  3. 가축 사육에도 영향
    가축의 먹이인 클로버나 알팔파 같은 식물도 벌의 수분이 필요 → 고기와 유제품 생산에도 차질
  4. 생태계 붕괴
    식물들이 씨앗을 맺지 못하면 식물 개체 수 감소 → 풀을 먹는 동물 줄어듦 → 포식자도 줄어듦 → 연쇄적인 멸종

한 마디로?

벌이 멸종하면 식량 체계가 붕괴하고, 인간 포함한 수많은 종이 큰 타격을 받습니다.
(“벌이 멸종하면 인류도 4년 안에 사라질 것이다”는 말도 아인슈타인의 말로 전해지지만, 진위는 불분명해요.)


🦟 모기가 멸종하면?

모기의 역할:

  • 생태계에서 먹이 역할: 물고기, 개구리, 새 등이 모기 유충이나 성충을 먹어요.
  • 일부 식물 수분: 몇몇 식물은 모기를 통해 수분되기도 함 (그러나 아주 드문 경우)

하지만...

  • 대부분 모기 종은 질병 매개체예요. 말라리아, 지카 바이러스, 뎅기열, 황열병 등을 퍼뜨려요.
  • 인간 사망 원인 중 1위가 바로 이 모기입니다 (연간 약 70만 명 사망 추정)

멸종 시나리오:

  1. 인간 건강에 긍정적 영향
    전염병 감염률 감소 → 수백만 명의 생명 구할 수 있음
  2. 생태계 영향은 있지만 제한적
    다른 곤충이 그 생태적 틈을 빠르게 대체할 가능성이 큼 (먹이사슬 보완 가능)

한 마디로?

모기가 멸종하면 생태계에 약간의 영향은 있어도, 인간에게는 오히려 긍정적인 변화가 클 수 있습니다.


요약 비교:

요소벌 🐝모기 🦟
생태계 중요성 매우 높음 (수분 필수) 중간 정도 (먹이로서 역할)
인간 영향 식량 위기, 경제적 혼란, 생태계 붕괴 전염병 감소, 생명 구함
멸종 시 결과 심각한 생태/사회적 위기 다소 긍정적, 관리 가능한 변화 가능